갑자기 턱관절에 찌릿한 통증이.... 우린 얼마나 오래 참을수있을까요?
Author
Rapha Pain and Injury Chiropractic
Date
2024-10-17 16:12
Views
1274
저는 1분도 못참아요...너무 아파서 밥도 못먹고, 과자도 못먹고, 빵도 못먹고, 떡도 못먹고, 과일도 못먹고, 말도 못하고.... 바로 몇일전에 저에게 일어난 일입니다. 아침에 밥을 먹으려고 입을 아~ 하고 open하자마자 바로 찌릿하는 통증이 ....
턱관절 misalignment는 오래놔둘수록 붓고 염증이 심해져서 너무 고통스럽습니다. 주위에 한명쯤은 벌겋게 부은 턱을 부여잡고 아파하는 걸 우리모두 본적이있습니다. 이경우 턱관절이 어긋난지 어느정도 시간이 지났을 때 볼수있는 증상입니다. 너무 오래 방치하면 안되겠죠?
턱관절(Temporomandibular Joint, TMJ)은 머리뼈와 아래턱뼈를 연결하는 관절로, 인체에서 가장 복잡한 관절 중 하나입니다. 이 관절은 아래턱뼈의 관절돌기와 머리뼈의 측두골에 위치한 관절오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턱관절속에는 작은 disc가 있으며, 이 원판은 턱을 움직일 때 충격을 흡수하고 부드러운 움직임을 돕습니다. 턱관절은 입을 열고 닫거나, 좌우로 움직이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하며, 회전 운동과 미끄럼 운동이라는 두 가지 주된 운동을 수행합니다.턱관절을 움직이는 데 관여하는 신경은 우리가 잘 알고있는 삼차신경 입니다. 이 삼차신경은 얼굴의 감각을 담당하는 뇌신경이며, 턱 근육을 조절하는 운동신경 기능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또한 턱과 목의 상호작용에서 경추 신경의 역할도 매우 중요합니다. 주로 C1~C3번 경추는 턱관절 주변의 근육과 연결되어 턱관절의 운동을 조절합니다. 따라서 턱관절의 복잡한 구조와 그 움직임에는 삼차신경과 경추 상부 신경(C1-C3)이 주요하게 관여하며, 이러한 신경들의 협력이 턱의 원활한 움직임을 가능하게 합니다.
턱관절(TMJ)과 경추 사이에 특히 상부 경추와 턱관절 주변 근육 및 신경계에서 그 상호작용이 중요하게 작용합니다. 상부 경추(C1-C3)는 턱관절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TMJ 장애를 가진 환자 중 다수가 목의 통증을 호소합니다. 또한 턱관절의 문제로인해서 심한 두통에 시달리는 경우도 많습니다. 더 나아가, 턱관절의 통증과 경추의 상호작용은 목 근육과 턱 근육 간의 긴장 및 불균형을 통해 설명될 수 있습니다. 경추의 STRUCTURAL PROBLEM, 특히 거북목은 턱관절에 많은 부하를 주어 TMj 통증의 발생 가능성을 높이며, 반대로 턱관절의 문제는 목 근육의 긴장을 유발하여 경추 통증을 악화시킵니다. 따라서 턱관절의 치료는 빠르면 빠를수록, 관절에 염증이 심해지기 전에 바로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더불어 위에서 살펴본바와 같이 경추의 문제 또한 함께 해결하는것이 바람직합니다.
과거에 MRI를찍고 결과를 가지고 계신다면 CLINIC 방문시 가져오시면 치료에 큰 도움이 될수있습니다.
문의나 예약은 홈페이지를 통하여 또는 문자로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클리닉 전화번호를 폰에 저장하시면 카톡으로도 연락주실수있습니다.
911. W ANDERSON LN, STE 202
Austin, TX US
https://www.raphamedicalgroup.org/
전화/ 문자 : 512-988-1184
여행자 보험/유학생 보험 받습니다.
HSA( HEALTH SAVING ACCOUNT) 가능합니다
*제 턱은 이제 어떻냐규요?
어제 오징어와 쥐포 먹었습니다! (물론 이런음식은 턱에 좋지 않습니다.... 하지만 가끔은 조심히 천천히 드시면 괜찮을듯 합니다...)
Total 2,701